CEO 90% "기업 절체절명 위기 겪어봤다"
[머니위크]국내 CEO '위기대응' 설문조사
우리나라 CEO 10명 중 9명은 자신이 직접 대규모 기업위기를 겪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CEO 자신의 대처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는 IGM세계경영연구원이 매출 300억원 미만부터 2조원 이상까지의 국내 기업 CEO 113명을 대상으로 3월 한달간 ‘당신 기업은 위기대응 제대로 할 수 있습니까?’라는 주제의 설문조사를 해서 나온 결과로 CEO들의 위기관리 능력 중요성에 대해 상당히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에는 제조, 서비스, 금융, 유통, IT/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기업 생사가 달린 대규모 위기 겪어본 적 있다’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 88%의 CEO가 직접 대규모 기업위기를 겪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위기 경험 횟수에 대해서는 ‘1번 정도 겪었다’는 대답이 44%로 가장 많았고 2번이 40%, 3번이 13%로 나왔다. 5번 이상 겪었다는 대답도 3%에 달했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1.jpg&index=7)
참여 기업들 중에서 ‘위기를 겪었다’고 답한 비율은 금융업이 89%, 제조업이 79%로 나타났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2.jpg&index=7)
위기를 겪었다는 CEO들에게 ‘당시 위기를 잘 극복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훌륭하게 극복했다’고 답한 CEO가 43%에 달했다. ‘미흡했다’라는 대답은 27%였다.
‘잘 극복했다’고 답한 CEO 43명을 대상으로 ‘위기에 잘 대응할 수 있었던 이유’를 묻자 가장 많은 44%의 응답자가 ‘CEO인 내가 평소에 대비를 해서 리드를 잘 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임원 중에서 위기관리 재능과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있었다’(16%)와 ‘외부전문가를 잘 활용했다’(14%)라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3.jpg&index=7)
반면 위기극복에 ‘미흡했다’라고 답한 CEO 57명에게 ‘위기에 대응을 잘 못했던 이유’를 묻자 42%가 ‘CEO인 내가 평소에 대비를 못해서 리드를 제대로 못했다’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내부에 위기관리를 제대로 할 줄 아는 사람이 없었다’(26%)와 ‘외부 전문가를 잘못 썼다’(11%)는 이유를 꼽았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4.jpg&index=7)
상반된 질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동일한 답변이 나온 것. 결국 위기극복의 변수는 최종 결정권자인 CEO의 대비와 판단, 그리고 임원의 재능과 경험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즉 CEO들은 위기극복에 있어 ‘기업 내부 리더들의 역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기업 위기에 따른 결말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대부분(97%)의 CEO들이 ‘기업이 지닌 위기관리 능력’에 따라 사태 결말에 큰 차이가 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8.jpg&index=7)
매출액 규모별로 ‘현재 위기대응 준비 수준’을 묻자 매출액이 작은 기업일수록 ‘준비가 미흡하다’고 대답한 비율이 높았다.
매출 2조원 이상 대기업은 ‘준비돼 있다’라는 대답이 100%에 달했다. 그러나 매출규모 3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들은 ‘미흡하다’는 대답이 과반수(53%)를 넘었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5.jpg&index=7)
‘준비가 미흡하다’고 답한 기업들에게 ‘앞으로 대비를 위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 있는가?’라고 물었을 때 ‘가까운 시일 내에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답한 CEO가 42%로 가장 많았으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응답도 31%에 달했다.
반면 ‘대비책을 마련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3%에 불과해 기업이 잠재적인 위기에 대해 ‘대책을 미리 마련해 둬야 한다’는 데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6.jpg&index=7)
‘위기 발생 시에 누구를 위기관리 팀장으로 지명할지 미리 생각해 놓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63%의 CEO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 대상자로는 ‘해당업무 담당 임원’(41%)과 ‘가장 신뢰하는 임원’(40%)을 생각하고 있어 CEO들은 외부 전문가보다는 기업 내 임원들에게 크게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age](http://image.moneytoday.co.kr/indexlink_image.php?no=2008040114572139125_7.jpg&index=7)
임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인지 ‘위기 대비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조치’로는 과반수 이상(55%)의 CEO가 ‘임직원에 대한 위기관리 교육’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실전 연습’이라는 응답이 30%에 달했다. ‘외부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조관계 구축’은 14%에 불과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설문 조사는 최근 기업과 관련한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면서 CEO들의 위기대응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한 것”이라며 “많은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기업들의 준비가 부족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IGM 세계경영연구원 김앤장 출신의 전성철 변호사가 이끌고 있는 연구소입니다. 여기서 CEO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기관리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위의 조사결과를 가만히 읽어 보면 왜 IGM이 이런 조사를 했는지 이해가 됩니다. 약간 조사 신뢰성에 의문이 가는 이유도 말입니다. 아래에 IGM의 위기관리 세미나 브로슈어를 첨부합니다. 흥미롭네요.
이는 IGM세계경영연구원이 매출 300억원 미만부터 2조원 이상까지의 국내 기업 CEO 113명을 대상으로 3월 한달간 ‘당신 기업은 위기대응 제대로 할 수 있습니까?’라는 주제의 설문조사를 해서 나온 결과로 CEO들의 위기관리 능력 중요성에 대해 상당히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에는 제조, 서비스, 금융, 유통, IT/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했다.
‘기업 생사가 달린 대규모 위기 겪어본 적 있다’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 88%의 CEO가 직접 대규모 기업위기를 겪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위기 경험 횟수에 대해서는 ‘1번 정도 겪었다’는 대답이 44%로 가장 많았고 2번이 40%, 3번이 13%로 나왔다. 5번 이상 겪었다는 대답도 3%에 달했다.
![]() |
참여 기업들 중에서 ‘위기를 겪었다’고 답한 비율은 금융업이 89%, 제조업이 79%로 나타났다.
![]() |
위기를 겪었다는 CEO들에게 ‘당시 위기를 잘 극복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훌륭하게 극복했다’고 답한 CEO가 43%에 달했다. ‘미흡했다’라는 대답은 27%였다.
‘잘 극복했다’고 답한 CEO 43명을 대상으로 ‘위기에 잘 대응할 수 있었던 이유’를 묻자 가장 많은 44%의 응답자가 ‘CEO인 내가 평소에 대비를 해서 리드를 잘 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임원 중에서 위기관리 재능과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있었다’(16%)와 ‘외부전문가를 잘 활용했다’(14%)라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 |
반면 위기극복에 ‘미흡했다’라고 답한 CEO 57명에게 ‘위기에 대응을 잘 못했던 이유’를 묻자 42%가 ‘CEO인 내가 평소에 대비를 못해서 리드를 제대로 못했다’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는 ‘내부에 위기관리를 제대로 할 줄 아는 사람이 없었다’(26%)와 ‘외부 전문가를 잘못 썼다’(11%)는 이유를 꼽았다.
![]() |
상반된 질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동일한 답변이 나온 것. 결국 위기극복의 변수는 최종 결정권자인 CEO의 대비와 판단, 그리고 임원의 재능과 경험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즉 CEO들은 위기극복에 있어 ‘기업 내부 리더들의 역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기업 위기에 따른 결말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대부분(97%)의 CEO들이 ‘기업이 지닌 위기관리 능력’에 따라 사태 결말에 큰 차이가 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 |
매출액 규모별로 ‘현재 위기대응 준비 수준’을 묻자 매출액이 작은 기업일수록 ‘준비가 미흡하다’고 대답한 비율이 높았다.
매출 2조원 이상 대기업은 ‘준비돼 있다’라는 대답이 100%에 달했다. 그러나 매출규모 3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들은 ‘미흡하다’는 대답이 과반수(53%)를 넘었다.
![]() |
‘준비가 미흡하다’고 답한 기업들에게 ‘앞으로 대비를 위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 있는가?’라고 물었을 때 ‘가까운 시일 내에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답한 CEO가 42%로 가장 많았으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응답도 31%에 달했다.
반면 ‘대비책을 마련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3%에 불과해 기업이 잠재적인 위기에 대해 ‘대책을 미리 마련해 둬야 한다’는 데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위기 발생 시에 누구를 위기관리 팀장으로 지명할지 미리 생각해 놓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63%의 CEO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 대상자로는 ‘해당업무 담당 임원’(41%)과 ‘가장 신뢰하는 임원’(40%)을 생각하고 있어 CEO들은 외부 전문가보다는 기업 내 임원들에게 크게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임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인지 ‘위기 대비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조치’로는 과반수 이상(55%)의 CEO가 ‘임직원에 대한 위기관리 교육’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실전 연습’이라는 응답이 30%에 달했다. ‘외부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조관계 구축’은 14%에 불과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설문 조사는 최근 기업과 관련한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면서 CEO들의 위기대응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한 것”이라며 “많은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기업들의 준비가 부족한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10_26_10_14_blog127975_attach_0_1.jpg?original)
IGM 세계경영연구원 김앤장 출신의 전성철 변호사가 이끌고 있는 연구소입니다. 여기서 CEO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기관리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위의 조사결과를 가만히 읽어 보면 왜 IGM이 이런 조사를 했는지 이해가 됩니다. 약간 조사 신뢰성에 의문이 가는 이유도 말입니다. 아래에 IGM의 위기관리 세미나 브로슈어를 첨부합니다. 흥미롭네요.
'Good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비밀준수 (1) | 2008.05.19 |
---|---|
조선일보-이슈분석 (0) | 2008.04.16 |
온라인 기업명성 관리를 위한 위기관리 대응 10단계 (3) | 2008.04.07 |
아이디어를 살려내자! (0) | 2008.03.29 |
위기의 심리학 2 (0) | 2008.03.28 |